|
|
교통취약 산간오지 주민의 발, 수요응답형 시골버스 주민 호응 커
|
할아버지․할머니 편리하게 장도 보시고, 병원도 다녀오시고
|
2023년 09월 26일(화) 11:37 [i주간영덕]
|
|
경북도는 2015년부터 버스노선이 없는 산간 오지마을 등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취약한 지역에 수요응답형 시골 버스 운행을 지원해 지역 주민의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노령층이 많은 오지는 자가용 차량이 없으면 쉽게 이동할 수 없는 환경으로 장보기나 병원 진료 같은 기본적인 생활도 어려운 상황이다.
수요응답형 시골 버스는 시내버스나 농어촌버스 노선이 없는 오지마을과 버스노선이 있는 면 소재지 지역을 연결하는 운행노선을 정해 병원 진료, 장보기, 농자재 구매, 기본 경제활동 등을 위해 이동이 필요한 주민들의 수요에 맞춰 운행하는 교통수단이다. 장날이나 주말에는 탄력적으로 운행회수를 늘려 운행하고 있다.
현재 4개 시군(포항 죽장면, 경주 산내면, 칠곡 기산면, 울진 기성면 등)의 25개 노선에 중·소형버스 9대를 배차해 일일 평균 61회 운행하여 교통 취약지역 주민들의 이동권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포항, 경주지역 시골 버스는 지역 사정에 밝은 마을주민 6명을 운전원으로 채용해 주민의 수요와 의견을 더욱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지역 일자리까지 새롭게 만드는 효과까지 얻고 있다.
운전원은 주민들과의 친분과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어르신들의 안부를 묻고 살피는 어르신 지킴이 역할을 수행하며, 거동이 불편한 지역 주민을 위해 생필품 구매대행과 배송 서비스까지 도맡아 하고 있다.
이용요금은 시군의 여건에 따라 100원부터 1,300원 수준으로 저렴한 편이다. 무료 환승이 가능함에 따라 승객들의 교통카드 이용률이 대폭 증가헸으며, 기존보다 탑승 소요 시간 감소 및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나타났다.
2022년 기준 60,172명이 시골 버스를 이용했고, 운전원에 따르면 주민들의 만족도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에서는 시군과 함께 시골 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적자를 보면서 운행하고 있는 운송회사에 운영비* 일부를 지원하고 있다.
* 2022년 6억6천8백만 원(도비 200, 시군비 468) 지원
최영숙 경북도 경제산업국장은 “교통 접근성은 도민의 기본적인 권리이자 기초적인 복지다”라며, “취약지역 주민의 이동권 보장과 교통복지를 위해 다양한 교통정책을 지속적으로 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
주간영덕 기자 “언론사 & 단체 명훈” - Copyrights ⓒi주간영덕.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i주간영덕
기사목록 | 기사제공 : i주간영덕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영덕군, 평생교육이용권 1인당 .. |
영덕군, 청년주택 19세대 첫 .. |
영덕군시각장애인후원회 산불피해이.. |
영덕경찰서, 산불 피해 등 대응.. |
영덕군 시설체육사업소, 산불 피.. |
친구들과 함께 가족과 함께 자연.. |
영덕교육지원청, 2025년 경북.. |
영덕군, 산불 피해 마을 찾아 .. |
내가 쓴 시가 영덕의 노래가 된.. |
초당 이무호선생, 산불 피해주민.. |
영덕군 보건소, 산불 피해 농가.. |
영덕교육지원청, 어버이날 이재민.. |
영덕군, 2024년 개인지방소득.. |
영덕군, 2025년 개별주택가격.. |
“고맙습니다, 소방관님”창수초 .. |
|
|